본문 바로가기
medical

[건강칼럼] 겨울철 노인 낙상사고 주의, 사고 사망원인 2위

by 김PDc 2018. 1. 20.
반응형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이봉주 과장

 

겨울철에 발생하는 골절은 눈길, 빙판길에서 넘어져 생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노인들은 골밀도가 낮고 균형 감각이나 사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져 낙상 시 골절상을 입기 쉽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250만 명 넘는 사람들이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등의 충격으로 요추골반 및 대퇴골이 골절돼 병원 치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는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한 상태인 60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약 69%3명 중 2명꼴이다.

 

노인의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낙상사고로 사망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한 해 83만여 명에 달하며 사고 사망원인 2, 전체 질병 중엔 암에 이어 5위라고 한다. 최근 발표된 한국인 '질병부담' 순위에서도 7위에 진입, 간암과 위암보다도 높았다. 특히 고관절은 빙판길에 미끄러질 때 골절되기 쉬운 부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고관절이 골절된 적 있는 50세 이상 사람들은 1년 내 사망률이 남성은 22%, 여성은 17%에 달했다. 낙상 골절의 대처법과 예방법에 대해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이봉주 과장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고관절 골절, 즉시 치료 시작해야

고관절(엉치뼈) 골절은 노인골절 중 가장 심각한 형태로, 단순한 엉덩방아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발생하는 부위는 엉덩이뼈와 연결되는 대퇴골의 머리 근처다. 고관절 골절은 발생 직후 바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한다. 고관절이 골절된 후 즉시 치료받지 않으면 수개월동안 누워 생활해야 하고 이 시기에 폐렴, 욕창, 혈전에 의한 심장마비, 요로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합병증으로 인해 1년 이내에 사망할 확률이 약 20%에 달한다.

 

고관절은 체중 대부분이 전달되는 곳이기 때문에 나사못으로 골절 부위를 고정하거나, 필요에 따라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환자가 고령이라면 고관절 골절의 대부분이 인공관절 수술을 요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인공관절치환술은 골절된 대퇴 근위부 뼈를 제거하고 비구(엉치뼈의 바깥쪽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곳)에 해당하는 골반의 연골 부위를 갈아낸 뒤 인공관절 치환물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수술 후엔 2~3일 동안에는 안정을 취하며 통증을 조절한다. 이때 휠체어 보행 및 기립 운동을 시작한다. 재활 프로그램에 맞추어 회복이 잘 되는 경우에는 상처 치료가 끝나는 2주 정도 후면 보행기를 잡고 병동에서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낙상으로 인한 척추압박골절, 5년 내 사망률 70%

기존에 척추압박골절(외부의 강한 충격이나 낙상 등으로 척추뼈가 골절되는 질환) 등을 앓았거나 평소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은 겨울철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낙상으로 인해 척추가 골절된 경우 5년 내 사망률이 70%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척추압박골절은 넘어지거나 주저앉을 때의 충격으로 척추가 압박 받아 생기는 경우가 많다. 주된 증상은 심한 허리 통증으로, 골절로 인해 신경이 마비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부분 심한 통증이 줄어들 때까지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척추압박골절 역시 장기간 누워 있으면 욕창,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치료를 위해 일찍 내원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간단한 시술만으로도 척추뼈를 통증이 거의 없이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고관절 골절과 척추압박골절 외에 손목 골절도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노인 낙상 질환 중 하나다. 손목 골절은 길을 걷다가 넘어질 때 손을 땅에 짚으면서 발생하는데, 손목이 골절되면 통증이 나타나고 붓기 시작하면서 피멍이 생긴다. 손목골절은 뼈가 부러지자마자 제대로 치료 받아야 손목 변형이 안 되고 제 기능을 할 수 있어 통증과 부종이 있으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겨울철 낙상, 예방하려면?

뼈가 약한 노인들은 단순 낙상으로도 골절상을 입을 수 있어 본인뿐 아니라 주위 사람들도 낙상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빙판길이 있는 날에는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고 꼭 나가야 한다면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면 좋다. 몸이 따뜻하면 근육과 인대가 이완돼 다칠 위험이 줄어들어 두꺼운 옷으로 보온에 신경 쓰는 것도 골절 예방에 좋은 방법이다. 야외에서 스포츠를 즐기기 전에는 반드시 스트레칭을 하고, 운동 후에 마무리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높은 골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소에 꾸준히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골밀도가 줄어들수록 골절 위험이 높아지므로 평소에 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칼슘을 많이 섭취하고 나트륨과 카페인의 과도한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여성의 경우 50세 전후에 폐경기로 에스트로겐의 양이 줄고 골밀도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50세 이후에는 1~2년에 한 번씩 골밀도 검사를 받으며 뼈 건강 상태를 확인하면 좋다. 평소 꾸준히 운동하는 것도 필요하다. 골밀도 향상에 도움이 되며 중년 이후엔 골밀도 감소 속도를 줄여준다. 스트레칭, 소도구를 이용한 근력 운동, 걷기와 수영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슈퍼앤슈퍼 - 홈]

최고의 제품, 최고의 기술로 당신의 회사를 책임집니다

superandsuper.modoo.at

인터넷마케팅, 부동산컨설팅, 영상제작, 홈피제작, 블로그제작, 제작홍보, 방송제작, 인터넷쇼핑몰

 

반응형